JS6 [React] useState, useRef 차이 리액트 클론코딩을 하다가 문득 useState , useRef의 차이점에 대해서 궁금해져서 기록해둔다 1. useState와 useRef의 차이 1) useState - useState를 사용하면 해당 state값이 업데이트되면 컴포넌트 return아래가 rerender가 발생하는데 - 예를들어 const [id, setId ]= useState("") 이렇게 id를 state로 지정하면 해당 인풋에서 글자하나를 입력할때마다 rerender가 발생한다. 2) useRef - 이렇게 하면 성능에 좋지 않으므로 useRef를 이용할 수 있다. - useRef로 DOM요소에 접근도 가능하다. - useRef는 값을 변경해도 render부분이 다시실행되지않는데 즉 값이 변경되어도 다시 렌더링이 일어나지 않아도 .. 2021. 12. 21. [CS] API에 대해서 리액트 프로젝트를 하며 최근에 들어서야 API를 다뤄보게 되었는데 생각보다 이해가 되지 않는 용어도 많고 머릿속에 잘 들어오지 않아 한번 정리해 보려고 한다. 1. API란? - API는 (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)의 약자로 사용자가 복잡한 기능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드를 제공 하는 것으로 사용자(개발자)는 내부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원리를 알 필요 없이 쉽게 기능을 사용이 가능하다. - 복잡한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, 간단한 함수로 만든 입출력 프로그램도 api가 될 수 있음 - api 정의는 해당 본문에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음 https://m.blog.naver.com/azure0777/220749852024 2. W.. 2021. 12. 12. [CS] 프로세스와 쓰레드에 대해 오늘은 프로세스와 쓰레드의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. 1. 프로레스와 쓰레드란? 1) 프로세스 - 프로세스는 운영체제 위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, 음악 프로그램이나 동영상 프로그램 그런 것들 - 만약 우리가 어떤 어플 쓰다가 어플에 문제 생기면 그 어플만 강제 종료하거나, 갑자기 어플이 죽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경우 프로세스에 문제 생겨서 그 프로세스가 죽은 것, 즉 운영체제 위에서 독립적으로 실행 되는 녀석 - 개인적으로 할당된 메모리가 존재하며 프로세스 안에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한 코드와 함수들이 있으며 어떻게 실행 되어야 하는지 실행 끝나면 어디로 돌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 저장한 스텍과 우리가 오브젝트 생성하거나 데이터 만들 때 그 데이터가 저장 되는 공간인 힙이 있음, - 힙에는 .. 2021. 12. 5. [CS]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 오늘은 브라우저 렌더링 과정에 대해서 정리해보자! 본문은 아래링크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https://m.post.naver.com/viewer/postView.nhn?volumeNo=8431285&memberNo=34176766 https://sunnykim91.tistory.com/121 https://velog.io/@thyoondev/%EC%9B%B9-%EB%B8%8C%EB%9D%BC%EC%9A%B0%EC%A0%80%EC%9D%98-%EB%8F%99%EC%9E%91%EC%9B%90%EB%A6%AC%EB%A5%BC-%EC%95%8C%EC%95%84%EB%B3%B4%EC%9E%90 1. 브라우저 기본기능 1) 사용자가 자원을 서버에 요청하면 요청한 자원을 브라우저에 표시함 2) 웹 브라우저에 UR.. 2021. 12. 3. 이전 1 2 다음